본문으로 건너뛰기

Post-mortem 란? 개념 정리

  •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후에 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론
    • 부검 혹은 사후검사라는 뜻을 가졌다. 의학 용어 의미하는 Post-mortem 에서 유래. 피해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원인들을 모두 밝히기 위한 방법
    • 개발에서는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후에 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론
  • Post-mortem 은 Pre-mortem 의 반댓말. Pre-mortem 은 무엇일까?
    •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실패 가능성을 가정하여, 리스크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한다
    • '프로젝트가 실패할 경우, 그 원인은 무엇일 것인가?' 라는 질문을 통해,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
    • 불확실성을 줄이고,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법
    • '우리 회사와 주력 제품이 망했어!' 라는 상상을 하고, 그 원인을 찾아내는 것
  • Post-mortem 은 왜 필요한가?
    • 기업은 작으나 크나 항상 문제가 발생한다. 문제가 발생했을 때, 그 원인을 파악하고, 동일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.
    • 책임자를 질책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.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고, 동일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. 개개인을 비난하면 각 조직과 개인은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 행동하고, 더 이상 문제를 공유하지 않게 된다.
    • Post-mortem 을 통해,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, 동일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다.
    • 잘못된 일과 잘된 일을 분석하여, 잘못된 일을 반복하지 않고, 잘된 일을 계속할 수 있다.
    • 시간 분석(timeline)으로 사고 원인, 발생 과정, 대응 과정 등을 살펴보면서, 임시적인 해결책이 아닌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낸다.